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북한이탈주민 취업 지원, 주택알선 지원 제도는 무엇이며, 신청방법은 무엇인가요?

by 꿀오쏘리 2023. 8. 6.
300x250

 

북한이탈주민 취업 지원 제도

북한이탈주민 취업 제도는 6개월 이상 동일 업체에 근무 시 최대 3년간 수도권 1,800만 원, 지방 2,100만 원, 북한이탈주민을 고용한 사업주에게는 급여의 50%를 최대 4년간 지급합니다. 지원 대상은 북한이탈주민 및 북한이탈주민을 고용한 사업주입니다. 오늘 포스팅에서는 취업 지원 제도 외에 자산 형성 지원, 주택알선 지원 제도 등 다양한 지원 제도에 대해 알려드리니 꼭 끝까지 열람하시길 바랍니다.

 

북한이탈주민 취업 지원 제도 표지

 

1. 북한이탈주민 교육비 지원

1) 대상

- 북한이탈주민

 

300x250

 

2) 내용

 

북한이탈주민 교육비 지원 내용

 

3) 신청 방법

- 남북하나재단에 문의 후 신청

 

4) 문의 방법

- 남북하나재단

 

남북하나재단 사이트 바로가기

 

2. 북한이탈주민 취업 지원

1) 대상

- 북한이탈주민, 북한이탈주민을 고용한 사업주

 

2) 내용

 

북한이탈주민 취업 지원 내용

 

3) 신청 방법

- 북한이탈주민 정착 지원사무소에 문의 후 신청

 

4) 문의 방법

- 북한이탈주민 정착 지원사무소

 

3. 북한이탈주민 자산 형성지원

1) 대상

- 2014년 11월 29일 이후 입국하여 거주지 보호기간 내에 있는 만 18세 이상 탈북민 중 거주지 전입이 6개월 지나고, 3개월 이상 경제활동 중인 소득자

 

2) 내용

- 소득의 30% 범위 내에서 매월 10만 원 이상 50만 원 이하(5만원 단위) 저축(최대 4년간) 시, 적립금 입금내역을 확인한 후 적립금과 동일한 금액의 지원금 지원

 

3) 신청 방법

- 남북하나재단에 문의 후 신청

 

4) 문의 방법

- 남북하나재단

 

남북하나재단 누리집 바로가기

 

3. 북한이탈주민 주택알선 지원

1) 대상

- 북한이탈주민

 

2) 내용

- 하나원에서 북한이탈주민의 주택 신청·배정을 위해 임대주택 알선 및 임대보증금* 지원

* 1인 세대 기준 1,600만 원

 

3) 신청 방법

- 교육 기간에 주거 희망 지역 신청 및 배정

 

4) 문의 방법

- 하나원

 

4. 북한이탈주민 법률상담

1) 대상

- 북한이탈주민

 

2) 내용

• 전담 법무담당관이 전화, 인터넷, 카카오톡을 통해 무료 법률상담 진행

• 소송구조 등 추가 도움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유관기관 연계(안내)

 

3) 신청 방법

• 법무부 통일법무과에 전화 신청

• 「통일 법제 데이터베이스」 를 통해 신청

• 카카오톡 친구추가(ID : unilaw114) 후 채팅을 통해 신청

 

통일 법제 데이터 베이스 누리집 바로가기

 

4) 문의 방법

- 법무부 통일법무과

 

북한이탈주민 법률지우너 누리집 바로가기

 

이상으로 북한이탈주민 취업 지원, 자산 형성지원, 주택알선 지원 제도에 대해 포스팅을 마칩니다. 본 포스팅을 통해 취업을 준비 중이신 탈북민, 주택에 대해 지원이 필요하신 탈북민분들께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, 항상 행복하시길 바랍니다. 끝까지 열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.

 

★ 함께 보면 좋은 글

 

 

 

북한이탈주민 정착금 지원, 의료비 지원 신청대상 및 신청방법은?

목차 북한이탈주민 정착금 지원 북한이탈주민 정착금 지원은 탈북 후 지원이 필요한 상황에 놓인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지원 제도입니다. 1인 세대 기준 기본금 900만 원을 지급하며, 가산금은 고

r.gohae.co.kr

 

 

의사상자 지원, 북한이탈주민 취약계층 긴급생계비 지원 신청방법은?

목차 의사상자 지원 제도 의사상자 지원 제도는 다른 사람의 신체 및 생명, 재산을 구하다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어 피해를 당하여 알맞은 예우와 지원을 하는 제도이며, 의사자 유족 및 의상자

xx.gohae.co.kr

 

 

기초연금제도, 주택연금제도는 무엇이며, 누가 이용할 수 있나요?

목차 기초연금 기초연금제도 는 월 최대 32만 3,180원까지 지원하며, 지원 대상은 만 65세 이상이며,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(소득 하위 70%) 이하인 어르신 입니다. 이 외에도 집을 담보로 맡기고

g.studiox99.com

300x250